Home > 정부/행정뉴스 > 환경부 > 환경부

야생조류 집단폐사 5건 중 3건에서 농약중독 확인

등록 일자 :2023-03-29 오전 8:00:00 수정 일자 :2023-03-29 오전 9:04:00

 

야생조류 집단폐사 5건 중 3건에서 농약중독 확인

 

울산 떼까마귀 등 야생조류 집단폐사에서 카보퓨란 농약성분 확인

 

환경부 소속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(원장 신동인)은 올해 2월 이후 발생한 야생조류 집단폐사 5건을 추가 분석한 결과, 이 중 3(30마리 폐사)에서 카보퓨란 성분 농약중독을 확인했다고 밝혔다.

2022.102023.3 동안 총 51건 분석 결과, 14(194마리)에서 농약중독 확인
 
올해 217일 울산 울주군에서 집단폐사한 떼까마귀 16마리에서는 조류인플루엔자(AI) 바이러스는 검출되지 않았고, 폐사체의 소낭(식도) 내용물에서 카보퓨란 농약성분이 치사량* 이상으로 검출됐다.

* 카보퓨란 반수치사량(LD50): 2.55.0mg/kg(영국작물생산위원회, BCPC)
 
또한 올해 214일 전북 김제시에서 발생한 멸종위기 야생생물 급 큰기러기 7마리 집단폐사에서도 조류인플루엔자(AI)가 아닌 카보퓨란 농약성분 중독이 확인.
   
농약으로 인한 야생조류 집단폐사는 해당 개체의 생명을 앗아갈 뿐만 아니라, 농약에 중독된 폐사체를 먹은 상위포식자(독수리 등 맹금류)2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.
 
올해 213일 경남 고성군에서 집단폐사한 독수리(멸종위기 야생생물 ) 7마리의 소낭(식도) 내용물에서 카보퓨란 농약성분이 검출됐다.

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은 이번 검사 결과에 대해서 해당 지자체에 통보하는 한편, 농약중독으로 의심되는 야생조류 폐사를 적극적으로 신고하도록 당부하고 있다.
   
야생조류 농약, 유독물 살포행위 발견 시 해당지역 관할 시군구의 환경부서, 유역(지방)환경청의 자연환경과 또는 정부민원안내콜센터(110)를 이용할 수 있다.
 
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야생조류 이상개체 및 폐사체를 신고하여 농약중독이 확인될 경우 10만 원의 포상금을 지급*받을 수 있다.
* 단 한 장소, 한 시점에 5마리 이상이 농약중독으로 폐사하여 발견된 경우에 한함
 
이수웅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 질병연구팀장앞으로도 야생조류 집단폐사 원인을 신속히 분석하여 해당 지자체에 통보하는 한편, 농약중독이 의심되는 야생조류 폐사체 신고를 독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.

[ 조미선 기자 ]

-등록 된 댓글이 없습니다.

    내 아이디어로 우리 주변의 사회문제를 직접 해결할 수 있다?!
  • 기자수첩
  • 신차정보
  • 신차시승기
  • 리콜정보